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출산

33주~35주 임신중 주의사항과 태아의 발달사항

by 이안애미 2023. 5. 24.
반응형

임신 33주~ 35주차는 임신 말기에 접어드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태아가 빠르게 성장하고 발달하기 때문에 임산부는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산부가 주의해야 할 사항

  •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 임신 중 체중 증가는 최대 12~16kg이 적당합니다. 체중 증가가 너무 많으면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과일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과일과 채소는 비타민, 무기질, 섬유질이 풍부하여 임산부의 건강과 태아의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 충분한 수분을 섭취합니다. 임산부는 하루에 2리터 이상의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합니다. 임산부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을 골고루 섭취해야 합니다.
  • 카페인과 알코올을 피합니다. 카페인과 알코올은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규칙적으로 운동합니다. 임산부는 하루에 30분 이상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산부와 태아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

  • 철분: 철분은 태아의 혈액 생성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철분 결핍은 빈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칼슘: 칼슘은 태아의 뼈와 치아 형성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칼슘 결핍은 구루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요오드: 요오드는 태아의 뇌와 신경계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요오드 결핍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엽산: 엽산은 태아의 뇌와 신경관 기형 예방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엽산 결핍은 신경관 기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3 지방산은 태아의 뇌와 눈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오메가-3 지방산 결핍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영양소가 많이 함유된 식재료

  • 철분: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굴, 시금치, 케일
  • 칼슘: 우유, 치즈, 요구르트, 멸치, 뼈째 갈아 만든 멸치
  • 요오드: 해조류, 멸치, 참치, 연어
  • 엽산: 녹색 채소, 콩류, 과일, 통곡물
  • 오메가-3 지방산: 고등어, 참치, 연어, 들기름, 아마씨유

임산부와 태아에 좋은 식재료

  • 브로콜리: 브로콜리는 엽산, 비타민 C, 식이 섬유가 풍부하여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에 좋습니다. 브로콜리는 태아의 신경관 기형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연어: 연어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여 임산부와 태아의 뇌와 눈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연어는 태아의 ADHD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견과류: 견과류는 엽산, 비타민 E, 마그네슘이 풍부하여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에 좋습니다. 견과류는 태아의 저체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요구르트: 요구르트는 칼슘, 단백질, 프로바이오틱스가 풍부하여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에 좋습니다. 요구르트는 태아의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녹차: 녹차는 카테킨이라는 항산화제가 풍부하여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에 좋습니다. 녹차는 태아의 저체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임신 33주~ 35주차의 태아는 태어나기 전 마지막 단계에 접어듭니다. 이 시기의 태아는 대략 2.5~3kg의 무게와 45~48cm의 길이를 갖습니다. 태아의 피부는 붉은색을 띠고 있으며, 솜털인 lanugo가 빠지기 시작합니다. 태아의 머리카락은 자라고 있으며, 눈썹과 눈꺼풀도 발달합니다. 태아의 손발톱은 손끝과 발끝까지 자랍니다. 태아의 뇌와 신경계는 계속해서 발달하고 있으며, 태아는 자궁 밖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임신 33주~ 35주차의 유산 위험성은 약 1%입니다. 유산의 증상으로는 질 출혈, 복통, 자궁 수축 등이 있습니다. 유산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산부인과에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임신 33주~ 35주차의 조산 위험성은 약 5%입니다. 조산의 증상으로는 질 출혈, 복통, 자궁 수축, 자궁 경부 개대 등이 있습니다. 조산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산부인과에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임신 33주~ 35주차에 조산이 발생하면 태아의 생존율은 약 90%입니다. 그러나 조산아는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산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
  •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합니다.
  • 충분한 수분을 섭취합니다.
  • 금연, 금주, 카페인을 피합니다.
  • 규칙적으로 운동합니다.
  • 스트레스를 관리합니다.

임신 33주~ 35주차는 임신 말기에 접어드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태아가 빠르게 성장하고 발달하기 때문에 임산부는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고, 유산과 조산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